(생화학분자생물학회) 당뇨병의 유형 - 제1형 당뇨병
(생화학분자생물학회) 당뇨병의 유형
■ 제1형 당뇨병
제1형 당뇨병은 당뇨병의 임상학적 분류 중 하나이다.
어린 나이에 발병하기 쉬우며 체내에서 인슐린이 거의 생산되지 않아서 발병한다.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베타 세포 손상이 잘 밝혀진 원인이다.
*인슐린 :
췌장의 랑게르한스 섬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어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인 혈당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
인슐린 부족에 의한 증상이므로 인슐린 주사를 통해 증상완화가 가능하지만, 음식 섭취량과 인슐린 주사량의 비율을 평생 조절하여야 한다.
당뇨병의 특징적인 증세는 심각한 갈증, 빈뇨, 다뇨증에 의한 다음증이 있다. 이런 증세들은 과량의 포도당을 소변으로 배출하게 되어 발생하며 이런 상황을 당죠라 한다.
당뇨병은 세포가 혈액으로부터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섭취하지 못하는 상태라 할 수 있다.

■ 제1형 당뇨병의 원인
유전적 돌연별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종적으로 췌장의 베타 세포가 망가지며 인슐린 생산에 문제가 생겨 발생한다.
여러 가지 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를 결정하는 HLA 유전자가 제1형 당뇨병과 연관된다고 보고 되어 있으나, 유전자의 돌연변이 자체만으로 발병하지 않은 케이스가 많다.
밝혀진 원인 유전자들의 돌연변이가 췌장의 베타 세포를 인식하는 자가 항체(autoantibody) 생성에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 되었다. HLA 유전자 외에도 다양한 원인 유전자가 있을 것으로 추축된다.
*자가 항체 :
자가 면역 질환에 걸리면 외부의 이물질이 아닌 자신의 구성물질에 대하여 만드는 항체

■ 제1형 당뇨병의 발병 기작
당뇨병의 발병 기작은 제1형 당뇨병의 증세가 나타나기 전부터 다양한 유전적, 환경적 원인에 의해 수지상 세포가 T 림프구, B 림프구에게 이자의 베타 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활성화된 T 세포나 B 세포로 인해 생성된 항체가 췌장의 베타 세포를 공격하기 시작하여 서서히 베타 세포 수가 줄어든다.
이에 반비례하여 차츰 혈당은 증가하기 시작하고 과혈당증(hyperglycaemia)이 지속되면 최종적으로 당뇨병으로 발전한다.
*과혈당증 :
혈액 가운데 포도당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증상. 대부분 당뇨병과 관계가 있다